전체 글55 들깨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들깨는 토질과 재배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최소한 33㎡(10평) 정도는 심어야 두병 정도의 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텃밭 농부는 기름을 짜기보다는 잎 수확을 목표로 서너 포기 정도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앗을 직접 밭에 뿌려도 발아가 잘되지만, 많이 심을 것이 아닐 때는 모종을 사서 심는 것이 유리하다. 밭 만들기 씨 뿌리기나 모종 옮겨심기 4주 전에 3.3㎡(1평) 당 두세 줌의 고토석회를 뿌려 토양을 중화하도록 한다. 석회를 뿌릴 때는 삽을 이용하거나 장갑을 끼도록 한다. 땀이 난 피부에 석회가 묻으면 열 반응을 일으켜 화상을 입기에 십상이므로 주의한다. 비가 내리는 날에 석회를 뿌리는 것도 매우 위험하므로 주의한다. 석회를 뿌리고 2주일 뒤에 3.3㎡ 당 2~3kg 정.. 2022. 9. 13. 돼지감자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땅속에서 덩이줄기(알)가 자라지만 가짓과인 감자와 달리 국화과 작물이다. 따라서 거짓과 작물과 번갈아 심어도 이어짓기 피해는 없다. 키가 2m 이상 크게 자라는 데다 잎도 크고 번식이 빨라 다른 작물이 자라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텃밭에서 재배하기는 부적합하다. 어느 정도 넓은 밭이 있다면 밭 한쪽 구석에 조금 심어 재배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번식이 빨라 일부러 심지 않아도 해마다 점유 면적이 늘어나므로 잘 관리하지 않으면 밭 전체가 돼지감자 밭이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워낙 잘 자라는 데다가 한 번 심으면 매년 따로 심지 않아도 미처 다 캐지 못하고 땅속에 남아 있는 작은 덩이줄기에서 새싹이 나와 해마다 급속하게 번진다. 햇빛이 잘 드는 밭에 덩이줄기를 심기만 하.. 2022. 9. 13. 검정콩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검정콩은 재배하기 쉬운 작물이다. 그러나 바로 씨앗을 뿌릴 경우 새 피해가 극심하므로 모종을 키워 옮겨 심는 편이 유리하다. 밭 한쪽에 씨앗을 뿌리고 한랭사 등을 덮어 새싹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새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 옮겨심기는 작업이 번거로워 곧뿌림하고 싶다면 조류 기피제인 '새총'을 입혀 씨앗을 뿌리면 된다. 조류기피제 새총은 종묘상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산기슭 밭에서 재배한다면 고라니가 콩의 새싹을 뜯어먹으므로 밭 둘레에 망을 쳐서 고라니 피해를 막아야 한다. 이어짓기 피해가 발생하는 작물이므로 이어짓기하지 않는다. 서리가 내리고 난 다음에 수확한다고 해서 '서리태'라고 부른다. 겉은 검은데 속은 푸르다고 해서 '속청'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실제 검정콩의 속은 푸른색이 아.. 2022. 9. 13. 고추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고추는 이어짓기 장해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작물이다. 생리 장해가 많은 데다 여름 무더위와 장마철에 병충해가 많아 무농약으로 기르기 매우 어려운 작물이다. 습해에 매우 취약하므로 물 빠짐이 좋은 밭에서 재배하거나 두둑을 30cm 이상 높이도록 한다. 모종을 기르는 기간이 70~80일로 길고, 모종을 기르기에 적정한 온도는 낮에 25~30℃, 밤에 18~20℃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텃밭 농부가 2월 중순부터 모종을 키우기는 어렵다. 따라서 모종을 사서 심는 편이 훨씬 유리하다. 추위에 매우 약하므로 날 씨가 적당히 따뜻해진 5월 중순 모종을 사서 심는 것이 좋다. 밭 만들기 고추는 습해에 약하므로 배수가 잘되는 밭에서 재배한다. 산성토양에서 재배하면 역병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모종을 옮겨심기 .. 2022. 9. 13.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