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연애 빠진 로맨스의 결정적인 장면
스물아홉의 자영이는 사실 요즘 왠지 모를 불안함을 느낀다. 하지만 자영이는 자신이 이유도 없이 불안함을 느끼는 나약한 존재라는 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애를 쓰고 있다. 자영이가 느끼고 있는 이 불안감은 어디서 오는 걸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일이라지만, 사실 자영이는 요 근래 자신의 나이 앞자리가 2에서 3으로 바뀐다는 것에 신경이 쓰고 있었다. 자신이 더 이상 꿈만 꾸고 있을 수 없는 나이가 됐다는 사실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그녀의 머릿속을 잠식하고 있을 때쯤 그녀는 남자 친구와 헤어졌다. 방송국을 관두고 아버지의 아픔 가게 일을 돋고 있다. 그런 자영은 남자 친구와 헤어지고 주변 친구들에게 연애 은퇴를 선언했다. 하지만 자영이 느끼고 있는 불안감에 더해 외로움이 자영이를 괴롭히고 있었다. 한편 서른셋의 우리는 잡지회사에 다니고 있다. 우리는 문예창작과 출신으로 잡지사에 입사했다. 하지만 우리는 일과 연애에 주도권을 쥐어본 적이 없다. 우리는 회사 선배를 짝사랑하고 있지만, 회사 선배는 우리의 순수한 마음을 이용만 한다. 우리는 편집장의 압박에 못 이겨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19금 칼럼을 맡게 됐다. 우리는 19금 칼럼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서 데이팅 어플을 다운로드하였다. 자영은 갑자기 들려온 전 남자 친구의 소식에 다잡았던 마음이 흔들렸다. 자영이는 속상한 마음을 위로하던 친구는 자영에게 소개팅 어플을 설치해서 새로운 만남을 가져보라고 권한다. 그렇게 자영은 술김에 <연애 빠진 로맨스> 어플에 가입을 하게 된다. 자영은 앞으로 가벼운 만남만 가질 거라고 말하고는 친구들과 연애 빠진 로맨스 내기를 하게 된다. 그리고 그녀는 가벼운 새 인연을 만나러 돌아다니지만 정상적인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 그렇게 자영은 <연애 빠진 로맨스> 어플을 통해서 우리를 만나게 된다. 자영과 우리는 통성명을 한 후에 술을 마시게 된다. 그리고 자영과 우리는 처음 만난 날 술김에 하룻밤을 보내게 된다. 이렇게 자영과 우리의 만남은 시작됐다. 우리는 편집장이 시킨 19금 칼럼을 써야 했기 때문에 자영과의 만남을 조금 각색해서 칼럼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자영과의 만남을 계속해서 이어갔다. 그렇게 우리가 작성했던 칼럼이 대박이 나고 우리는 계속해서 칼럼을 쓰게 되었다. 가벼운 마음으로 만남을 시작했지만 자영과 우리는 서로에게 꾸며진 모습을 보여 줄 필요가 없었다. 그저 자신의 모습대로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기만 했다. 그렇게 자영과 우리는 자연스레 그 누구보다 서로에게 진심을 보여주었고 자영과 우리는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하지만 우연찮은 기회에 우리가 쓴 칼럼을 자영이 보게 되고 만다. 자영이 본 칼럼은 익명의 글쓴이가 쓴 글이었지만 자영은 그 글 속의 주인공이 자신이라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렇게 자영은 또 한 번 상처를 받고 우리를 떠나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흐른 뒤, 냉면집에서 자영과 우리는 다시 만나게 된다. 우리는 차갑게 지나치려고 한 자영에게 자신의 진심을 전한다.
영화 상세 정보
이 영화는 2021년 11월 24일에 개봉했다. 상영 시간은 95분이다. 정가영, 왕혜지 각본에 정가영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전종서, 손석구, 공민정, 김슬기, 배유람, 김재화, 임성재, 임선우 등이 출연했다. 정가영 감독의 성공적인 상업영화라는 평이 있다. 선우정아가 이 영화의 음악감독으로 참여했다. 전종서와 손석구 모두 실제로 술을 잘 마시지 못해서 음주 장면들에는 술 대신 물을 사용했다고 한다. 감독은 이 영화의 주인공 이름을 신경 써서 지었다고 한다. 여자 주인공 이름은 함자영이고 데이팅 어플 닉네임은 함자영이다. 남자 주인공 이름은 박우리이고 데이팅 어플에서의 닉네임은 직박구리이다.
감상평
정가영 감독은 단편영화 시절부터 도발적인 애정사를 영화로 잘 표현한다는 평을 받아온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영화에서도 역시 성적 욕망을 숨기지 않는 여성 캐릭터가 등장한다. 한국 영화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캐릭터가 이 영화의 재미를 더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15세 이상 관람가 등급인데 영화 내용이 15세에게도 부적절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거 같다. 또 영화 초, 중반까지는 내용에 밀도가 높았는데 후반부터는 이야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급하게 영화를 마무리하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0) | 2022.07.13 |
---|---|
보헤미안 랩소디, 밴드 QUEEN의 이야기 (0) | 2022.07.12 |
기생충, 작품성과 상업성의 양립 가능성을 보여주다 (0) | 2022.07.03 |
토이스토리, 레전드의 시작을 알리다 (0) | 2022.07.02 |
러브레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0) | 2022.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