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열무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열무는 십자화과 작물과 이어짓기하지 않도록 한다. 봄과 가을에 수시로 씨를 뿌려 기를 수 있다. 40일이 지나면 수확할 수 있을 만큼 재배 기간이 짧으므로 앞작물을 수확한 후 다른 작물을 심기 전에 잠시 밭이 빌 때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시설 없이 여름에 씨앗을 뿌려 기르기는 매우 어렵다. 적어도 한여름 무더위가 한풀 꺾이는 8월 말이나 9월 초에 씨앗을 뿌려 가을에 재배하는 것이 기르기 쉽다. 봄에 씨를 뿌려 여름철 열무김치로 이용하면 제격이며, 흩뿌려 심은 뒤 중간중간 솎아 먹 기 에도 적합한 작물이다. 밭 만들기 열무는 습한 밭과 건조한 밭을 모두 싫어한다. 따라서 물 빠짐이 좋은 밭이면 두둑 높이를 10cm 정도로 하고, 물 빠짐이 나쁜 밭은 두둑을 20cm 이상 높인다. .. 2022. 9. 24.
얼갈이배추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얼갈이배추도 배추와 재배하는 방법이 같다. 연중 재배할 수 있지만 한여름과 한겨울에는 재배하기 어렵다. 얼갈이배추는 재배 기간이 짧아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후속 작물을 재배하기 전에 잠시 밭이 빌 때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심는 시기 기온에 따라 내한성(추위를 견디는 성질), 내서성(더위를 견디는 성질)이 강한 종자를 구별해서 심는 것이 좋다. 얼갈이배추를 좀 늦은 봄에 심었다가 거의 수확도 하지 못한 상태에서 꽃대가 올라오는 바람에 농사를 망친 적이 있다. 씨앗 봉투 뒷면에 내서성 혹은 내한성에 강한 정도를 표시하고 있으니 잘 살펴보고 구입해야 한다. 그러나 배추는 기본적으로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내서성이 강한 품종이라고 하더라도 봄부터 여름까지 재배하기는 어렵다. 5월 하순이면 꽃대가.. 2022. 9. 23.
야콘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야콘은 물 빠짐이 좋고 통기성이 우수한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재배하기 쉬운 편이다.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날씨가 적당히 따뜻해지는 5월 중순에 모종을 심는 것이 좋다. 요소 비료(질소)를 너무 많이 주면 키가 지나치게 자라 쓰러지기 쉬우므로 유의한다. 한 번만 모종을 사서 재배하면 이듬해부터는 야콘 덩이뿌리(열매) 위쪽에 달리는 관아(붉은빛을 띠는 덩어리)를 보관했다가 재배할 수 있다. 밭 만들기 모종 심기 2주 전 3.3㎡(1평) 당 10kg 정도로 넉넉하게 퇴비를 넣고 밭을 잘 일구어준다. 나뭇재를 밑거름으로 많이 넣어주면 좋다. 요소 비료는 밑거름으로 많이 넣기보다는 자라는 것을 봐가며 웃거름으로 주는 것이 좋다. 농사를 오래 지은 땅이라면 퇴비를 넣기 2주일 전에 석회를 .. 2022. 9. 22.
돌산갓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재배 포인트 돌산갓은 유기질이 풍부하고 보수력이 좋은 땅에서 잘 자란다. 물 빠짐이 좋은 사질 토양에서는 두둑의 높이를 낮추도록 한다. 다소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나 추위에 약하므로 가을 재배의 경우 늦어도 11월 말에는 수확을 마치는 것이 좋다. 봄, 가을에 재배할 수 있으나 초보 농부에게는 가을 재배가 유리하다. 봄에 재배한다면 워낙 꽃대가 잘 올라오는 작물이므로 어느 정도 자랐다고 생각하면 빨리 수확해서 먹는 것이 좋다. 봄 재배는 5월 하순이면 꽃대가 올라오고, 가을 재배는 10월 말에 꽃대가 올라와 버리므로 수확해서 이용하기가 어렵다. 봄에 재배할 경우 돌산갓이 어느 정도 자라면 50% 차광막을 쳐서 그늘을 만들어주면 추대를 다소 늦출 수 있다. 밭 만들기 양토(점토가 25~37.5% 함유된 흙).. 202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