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 식물 키우기

검정콩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by 띠리끽 2022. 9. 13.

조리된 검정콩의 모습

재배 포인트

검정콩은 재배하기 쉬운 작물이다. 그러나 바로 씨앗을 뿌릴 경우 새 피해가 극심하므로 모종을 키워 옮겨 심는 편이 유리하다. 밭 한쪽에 씨앗을 뿌리고 한랭사 등을 덮어 새싹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새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 옮겨심기는 작업이 번거로워 곧뿌림하고 싶다면 조류 기피제인 '새총'을 입혀 씨앗을 뿌리면 된다. 조류기피제 새총은 종묘상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산기슭 밭에서 재배한다면 고라니가 콩의 새싹을 뜯어먹으므로 밭 둘레에 망을 쳐서 고라니 피해를 막아야 한다. 이어짓기 피해가 발생하는 작물이므로 이어짓기하지 않는다. 서리가 내리고 난 다음에 수확한다고 해서 '서리태'라고 부른다. 겉은 검은데 속은 푸르다고 해서 '속청'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실제 검정콩의 속은 푸른색이 아니라 연두색이다.

모종 심기보다 모기르기

모종을 사서 심기보다 종자를 곧뿌림하거나 직접 모종을 길러서 옮겨 심는 편이 유리하다. 종자는 알이 굵고 윤기가 나는 것이 좋다. 알이 작으면 자람과 수확이 부실하다. 전업농가에서는 전염병을 예방하고자 파종 전에 베노람 수화제(가루약)로 소독한다. 소독을 원한다면 서리태 한 되에 베노람 수화제 한 숟가락을 풀어 뒤적거려 주면 된다.

밭 만들기

콩은 비료가 거의 필요 없는 작물이다. 지난해에 다른 작물을 심어 비료 성분이 남아 있다면 굳이 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비료 성분이 전혀 없는 밭이라도 33㎡(10평)에 20kg 퇴비 한 포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토질을 거의 가리지 않으나 산성토양을 싫어하므로 밑거름 넣기 2주일 전에 석회를 3.3㎡(1평) 당 한 줌 정도씩 뿌려주면 좋다. 요소(질소) 비료는 밑거름으로 주지 말고 성장을 봐가며. 약하다 싶을 때 웃거름으로 주도록 한다. 생육이 좋다면 굳이 요소 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두둑은 높이 10~15cm,너비 90cm 정도로 만든다.

재배 방법

남부 지방의 경우 6월 10일경 파종하고, 북부 지방은 6월 20일 이후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 5월 중 씨앗을 뿌리면 영양생장만 하고 생식 생장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모종을 기른다면 씨앗 간 간격을 10cm 정도로 띄워 나중에 옮겨심기 편하게 한다. 본밭에 바로 씨앗을 뿌린다면 90cm 너비의 두둑에 두 줄로 심되 각 줄의 모종 간 간격은 50cm 정도로 충분히 띄워준다. 많이 심겠다고 좁혀 심으면 오히려 수확이 좋지 않다. 본밭에 곧뿌림한다면 한 개의 구멍에 두세 알을 넣어 싹을 틔운 다음 부실한 모종을 솎아내고 한 개만 키운다. 심는 깊이는 1~2께 정도가 적당하다. 두둑 폭을 좁혀 한 줄로 심기보다 두둑 폭을 다소 넓혀 두 줄로 심으면 콩대가 서로 기댈 수 있어서 장마 기간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순지르기

서리태는 마디마다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므로 순지르기를 해서 마디를 많이 생기게 해야 다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일괄적으로 순지르기를 하지는 않는다. 성장을 봐가며 생육이 왕성할 때는 두 번 정도 순지르기를 하고, 생육이 보통일 때는 한 번 하고, 성장이 매우 약해 키가 크지 않을 때는 순지르기를 하지 않는다. 키가 쑥쑥 잘 클 경우 반드시 순지르기를 해야 넘어지지 않고, 수확량도 늘어난다. 장마로 키가 많이 자랐다면 반드시 순지르기를 해야 한다. 본잎이 다섯에서 일곱 장 정도 나왔을 때 1차 순지르기를 해준다(대체로 파종 1개월 무렵), 곁가지가 서너 개 정도 나오면 곁가지도 2차 순지르기를 해준다(8월 초 무렵), 콩은 왕성하게 자라므로 곁가지 길이를 15~20cm 정도 남겨두고 강하게 순지르기를 한다. 단 7월 10일 이후 씨앗을 뿌렸다면 1차 순지르기만 하고, 6월 20일 이전에 파종한 경우에는 2, 3차 순지르기를 한다. 일반적으로 콩대는 콩 꽃이 핀 뒤에도 보통 20cm가량 더 자라는 만큼, 이를 고려해 20cm가 더 자라 헛골이 모두 채워질 것 같으면 콩 꽃이 서너 번째 가지에서 한 두 개 보이더라도 낫으로 윗부분을 새순 바로 아래까지 잘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업농가에서는 대량으로 생산하므로 예초기(풀을 베는 데 쓰는 기계)로 순지르기를 하지만 텃밭 농부는 가위로 하나씩 잘라 주어도 된다.

끈 두르기

1차 순지르기 후나 태풍 소식이 오면 고춧대를 지주로 세우고, 끈을 둘러 콩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쓰고 남은 플래카드 등으로 둘러주어도 되지만 텃밭 미관이 나빠지므로 끈을 치는 게 좋다. 몇 포기 안 된다면 고추 지주를 포기 당 하나씩 세워주면 된다.

북주기

서리태는 장마기를 거쳐 성장하는 데다 잎이 무성해서 북주기를 해주어야 한다. 북주기하지 않으면 콩이 넘어지기 쉽고, 넘어지면 통풍이 안 되거나 물에 잠겨 농사를 망치게 된다. 또 북주기해야 뿌리 발생이 좋아져 성장이 좋아진다. 1차 북주기는 본잎이 네다섯 장일 때, 2차 북주기는 본잎이 예닐곱 장일 때 실시한다(2차 북주기할 때는 맨 아래 본잎이 흄에 묻히는 정도로 높게 해 준다). 그러나 북주기 작업은 매우 고되다. 전업 농부처 럼 다수확이 목표가 아닌 만큼 북주기를 하지 않고 고춧대를 세워 넘어지지 않도록 해주어도 된다.

병해충과 처방

콩은 노린재 피해가 심하다. 콩꼬투리가 익기 전에 노린재가 잎이나 열매의 즙을 빨아먹어 빈 꼬투리가 발생한다. 전업농가에서는 장마 직후 두세 차례에 걸쳐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합 살포해 콩모자이크병, 노균병, 탄저병 등 병과 노린재, 콩나방, 진딧물, 굴나방,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등을 방제한다. 소규모 텃밭 농부는 굳이 살균제나 살충제를 살포하지 않아도 수확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그래도 걱정된다면 노린재 방제를 위해 콩밭 주변에 코스모스를 심거나, 페로몬을 이용하거나, 은행잎을 갈아 잎에 뿌리거나, 커피를 진하게 타서 살포하면 효과가 상당하다. 천연 농약 살포는 장마가 끝난 뒤부터 1주일 간격으로 해주면 좋다. 멧돼지가 출몰하는 밭이라면 약국에서 화장실 청소용 세제인 크레졸비누액을 구입해 생수병에 넣어 밭 주변에 5미터 간격으로 설치하고, 위에 구멍을 뚫어주면 효과가 있다. 멧돼지가 그 냄새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다만 비누액은 1주일 간격으로 교체해주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고라니 역시 크레졸비누액이나 폐엔진오일을 위의 방법처럼 설치해주면 효과가 있다. 시중에는 노루기피제인 '노루노'가 있는데. 이것을 사다가 고라니가 다니는 길에 뿌려주거나 망에 달아놓는 것도 방법이다.

웃거름 주기

장마가 끝난 뒤 성장을 봐가며 요소와 칼리 비료를 조금 주면 성장도 좋아지고, 열매도 충실해진다. 성장 상태가 좋다면 요소 비료는 주지 않아도 된다.

수확과 보관

꽃이 피고 60~70일 이후 수확할 수 있는데, 콩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잎이 떨어지고 꼬투리와 서리태가 분리되어 흔들었을 때 달그락 소리가 나면 수확 적기다. 보통은 10월 첫서리가 내린 후다. 너무 일찍 수확하거나 너무 늦게 수확하면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주의한다. 콩이나 팥, 깨 등은 아침 일찍, 즉 아침이슬이 마르기 전에 베어야 떨어지는 것이 적다. 한낮을 지나 습기가 다 말라버리면 꼬투리에서 쉽게 콩이 떨어져 수확량이 줄어든다. 콩대를 낫으로 벤 뒤에 밭에서 1주일 정도 충분히 말려야 콩이 잘 털리고. 쭈글쭈글한 콩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수확 전에 일기예보를 잘 살펴 앞으로 1주일 정도 비가 오지 않을 때 거둬들인다. 만약 중간에 비가 온다면 비닐 등으로 덮어 비를 맞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잘라낸 콩대를 서로 묶어 에이(A) 자로 세우고, 비닐을 덮어주면 웬만큼 비가 와도 괜찮다. 잘 말린 후에 콩을 털고, 털고 난 뒤에도 사 나홀 정도 충분히 말려야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