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 식물 키우기

땅콩 재배하는 방법과 특징

by 띠리끽 2022. 9. 13.

재배 포인트

땅콩은 물 빠짐이 좋은 사질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밭을 만들 때 고토석회를 넣어주면 열매가 풍성해지고 질이 좋아진다. 수확한 뒤에는 햇빛에 잘 말려야 오래 저장할 수 있다. 파종에서 수확까지 재배 기간이 긴 편이지만, 재배 자체는 별로 어렵지 않다. 비타민 E가 많이 들어 있어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올레(oleic) 산이 들어 있다. 땅콩은 씨방 자루가 땅속으로 들어가 열매가 달려서 낙화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밭 만들기

땅콩 재배에는 물 빠짐이 중요하다. 점질토 밭은 땅콩을 재배하기에 부적합하고, 사질토 밭이 좋다. 모래가 많이 섞인 밭에서도 잘 자란다. 3.3㎡(1평) 당 열 줌 이상의 고토석회를 넣고, 너비 80cm,높이 20cm 정도의 두둑을 만든다. 고토석회가 부족할 경우 빈 꼬투리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석회를 반드시 넣도록 한다. 비옥한 땅이라면 굳이 밑거름을 넣지 않아도 된다. 박토라면 평당 5kg 정도의 유기질 비료를 넣어준다.

씨 뿌리기와 아주 심기

추위에 약하므로 날씨가 적당히 따뜻해진 다음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재배한다. 적당한 생육온도는 25~30℃다. 20~25cm 간격으로 씨앗을 뿌리되 1cm 정도 깊이의 구멍에 두세 개 씨앗을 넣어준다. 씨앗을 넣을 때는 다소 간격을 두어 씨앗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해준다. 씨 뿌리기 후 물을 주어야 빨리 발아한다. 직파할 경우 씨앗이 발아하고 키가 10cm 정도 자라면 솎아내어 한 곳에서 한 포기만 자라도록 한다. 발아 온도가 높고 새나 쥐가 씨앗을 훔쳐 먹는 경우가 많으므로 모종을 키워서 옮겨 심는 편이 유리하다. 텃밭 농부가 모종을 일일이 키워서 심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므로 6월에 종묘상에서 모종을 사서 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모종을 심을 경우에도 역시 20~25cm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병해충과 처방

생육 기간 중 진딧물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마시고 남은 우유나 요구르트, 설탕물의 희석액으로 제거한다. 진딧물이 몇몇 잎에 집중되어 있을 때는 약제보다 포스트잇 같은 약한 접착테이프로 제거한다. 풍뎅이가 땅콩을 갉아먹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미숙한 퇴비를 사용하면 풍뎅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완숙 퇴비를 쓰도록 한다. 씨 뿌리기 직후 새가 씨앗을 먹어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한랭사로 새 피해를 막는다. 몇 포기만 심었다면 일부러 한랭사를 구입하기보다는 페트병을 반으로 잘라 모를 심은 자리에 씌워주면 된다.

웃거름 주기

씨앗을 뿌리고 6~7주가 지나면 노란 꽃이 핀다. 이때 포기 주변에 웃거름을 주고 거름과 흙을 잘 섞어준다. 포기당 유기질 비료는 한 줌, 화학 비료는 한 숟가락 정도를 사방에 골고루 주면 된다. 노란 꽃이 지고 나면 꽃이 달려 있던 곳에서 씨방 자루가 자라 땅속으로 들어가 꼬투리를 맺게 되는데, 이때 땅을 평평하게 해 주면 좋다. 꽃이 피고 난 뒤에 잡초 제거를 겸해서 호미로 포기 주변 흙을 긁어주면 씨방 자루가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데 유리하다. 그러면 씨방 자루가 자라 땅으로 향할 때 일부러 북주기를 해주지 않아도 씨방 자루가 땅속으로 들어간다.

수확과 보관

품종에 따라 9월 하순에서 11월 초쯤 잎줄기가 누렇게 변해가면 수확하기 좋은 시기다. 판단이 잘 서지 않을 때는 한 포기 정도 뽑아서 땅속에 묻힌 열매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다. 수확할 때는 덩굴을 잡고 포기째 뽑는다. 거둬들인 뒤에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 꼬투리를 까야한다. 충분히 건조되지 않으면 곰팡이가 생긴다. 수확한 땅콩의 흙을 털어내고 한나절 정도 찬바람을 맞힌 다음 건조에 들어가면 맛이 더 좋다.

댓글